이명박 대통령은 8일 오전 충남 천안 충남테크노파크에서 열린 국가고용전략회의를 주재했습니다.
다음은 대통령의 마무리 말씀입니다.(모두 말씀은 없었음)
“지금 우리는 혁신적인 기술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다. 몇 년 안에 자리를 못 잡으면 완전히 밀려나게 된다. 위기의식을 갖고 철저히 대처해야 한다.
좋은 제안들이 많이 나왔다. 정부는 오늘 나온 제안들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정부가 지원하는 데 있어 결과를 너무 따지면 안 된다. 정부는 위험부담을 감수해야 한다. 10개 중 1~2개만 성공해도 의미가 있다는 생각으로 과감하고 선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모두에게 골고루 나눠주는 지원 방식은 의미가 없다. 될 성 싶은 쪽에 집중 지원하도록 하겠다.
정부와 함께 대기업들도 중소기업 제품들을 적극 활용해 줬으면 좋겠다. 허리띠를 졸라 매고 실기하지 않도록 모두가 최선을 다하자.”
<참석자들 토론 내용>
△ 이승현 광운대 교수 :
3D 산업은 융합산업이고 녹색산업이다. 정부 차원의 3D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 김국진 미디어미래연구소 소장 :
콘텐츠․미디어․3D산업 육성은 한 부처가 아닌 범국가적 아젠다가 되어야 한다. 글로벌시장을 겨냥할 수 있도록 가까운 아시아 시장부터 공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김택진 엔씨소프트 사장 :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게 수학공부, 경제학공부를 시키는 것이다. 수학을 하지 않고도 공대에 들어갈 수 있는 우리 이공계 현실은 심각한 문제가 있다.
△ 김영찬 골프존 사장 :
골프 초보생을 위한 아이디어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냈다. 3D는 특히 스포츠분야에 활용할 여지가 많다. 집중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 성필문 스테레오픽처스 사장 :
지난해까지 적자였지만 올해는 80~90억원의 흑자가 예상된다. 밀려드는 일감에 올해 3,150명의 인력을 추가로 고용할 예정이다. 짧은 시간에 시설․인력 확보가 쉽지 않다. 정부의 지원을 부탁드린다.
△ 김정아 CJ엔터테인먼트 사장 :
한국영화는 세계적 제작수준에 와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두가지 문제를 극복하지 않으면 세계 시장 진출이 쉽지 않을 것이다.
저작물 불법유통에 대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해 실행해 달라. 정부가 주도하는 글로벌 펀드를 조성해 관련 업체가 기술수준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
△ 하회진 래드로바 사장 :
글로벌 프로젝트라고 판단되는 부분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세계 수준의 3D 모니터를 생산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3D 분야가 산업 분류조차 안 돼 있는 게 현실이다. 표준화도 좋지만 산업분류가 선행됐으면 좋겠다.
△ 정만원 정보통신산업협회 회장 :
우리는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는데 아쉬운 것은 오락 위주로 구성돼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산업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융합이 산업의 트렌드인데 산업간 협업을 막는 규제가 너무 많다. 이것을 풀어야 한다.
2010년 4월 8일
청 와 대 홍 보 수 석 실
제목 | 작성일 |
---|---|
55차 비상경제대책회의 관련 브리핑 | 2010.04.15 |
안보관련 긴급수석회의 관련 브리핑 | 2010.04.15 |
반기문 UN 사무총장 면담관련 브리핑 | 2010.04.13 |
UAE 아부다비 왕세자 면담 관련 브리핑 | 2010.04.13 |
국가고용전략회의 관련 브리핑 | 2010.04.08 |
대한노인회 초청오찬 관련 브리핑 | 2010.04.07 |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관련 브리핑 | 2010.04.06 |
잭 오스틴 워너 FIFA 부회장 접견 관련 브리핑 | 2010.04.06 |
제15회 국무회의 관련 브리핑 | 2010.04.06 |
수석비서관회의 관련 브리핑 | 2010.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