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메인메뉴로 바로가기
서브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청와대

2013 더 큰 대한민국

서브메뉴 시작

국정자료

  • 국정철학
  • 국정지표
  • 이명박 정부 국정 성과
  • 정상외교
  • 핵안보 정상회의
  • G20정상회의

본문시작

핵안보 정상회의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사이트 바로가기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관련 내.외신 보도자료
  • 정상회의개요
  • 제1차 워싱턴 정상회의
  • 제2차 서울 정상회의
제1차 워싱턴 정상회의 사진
일 시
2010년 4월 12일(월) ~ 13일(화)
장 소
Walter E. Washington Convention Center, Washington D.C.
참석대상
핵물질 보유량, 핵물질 방호 현황, 원전 건설 계획, 지역 배분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47개국 정상 (대한민국,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일본, 독일, 파키스탄, 인도, 이스라엘, 남아프리카공화국, 캐나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멕시코,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싱가폴,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스웨덴, 벨기에, 노르웨이, 핀란드, 스위스, 폴란드, 체코, 우크라이나, 터키, 조지아, 아르메니아, 카자흐스탄, 이집트, 호주, 뉴질랜드,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UAE, 모로코, 알제리, 나이지리아)3개 국제기구(UN, IAEA, EU) 대표

회의 개최 배경

  •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핵군축 분야에서의 실질적 진전, NPT 등 핵비확산체제 강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보장, 핵안보 강화 등 군축. 비확산 외교를 최우선 정책과제로 추진할 의사를 표명하였습니다.
  • 오바마 대통령은 2009년 4월 5일 체코 방문 특별연설시 2010년 ‘핵안보정상회의(Nuclear Security Summit)’ 개최를 제안하였으며, 2009년 7월 8일 G-8 정상회담시 ‘핵안보정상회의’ 계획을 공식 발표 하였습니다.
  • 2009년 4월 5일 오바마 대통령 프라하 연설시 핵안보 관련 언급사항
  • 핵테러리즘을 국제안보에 대한 최대의 위협(most immediate and extreme threat)으로 지목 향후 4년 이내에 전세계의 취약한 모든 핵물질을 안전하게 보호(secure)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적 노력을 추진할 계획임을 천명하고 이를 위해 2010년중 핵안보정상회의 개최 계획 발표

회의 개최 배경

  • 2모든 참가국들은 핵안보 강화의 필요성에 관한 공동 인식에 기초하여 공동의 대응방안 및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회의 목표 - 정상 차원에서 핵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공유, 핵안보 강화 및 핵테러 대응에 있어 국가 책임 인식, 핵안보 관련 최적관행 공유, 핵안보 관련 기존의 국제적 노력 지지 및 강화
  • 회의는 핵안보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핵군축 및 비확산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습니다
  • 정상회의 폐회 시점에 회의 결과문서로 정상성명(Communique) 및 작업계획(Work plan) 채택하였습니다.
자료다운
내용 자료
정상 차원의 정치적 서약을 담은 정상성명(Communique) 국문 원문
구체적·기술적 사안을 포함한 작업계획(Work plan) 국문 원문

회의 주요논의 결과

  • 2핵테러 위협의 심각성 및 핵테러 예방의 중요성에 대해 참석 정상간 인식을 같이하고, 핵테러 대응을 위한 공동 방안을 마련하기로 하였습니다.
  • 핵물질 방호 및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국가적 책임의 중요성을 재확인 하였습니다. 관련 법령 및 정책 마련을 통한 핵물질 및 핵시설 관리 강화
  • 핵테러 위협에 대한 국제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UN, IAEA, G-8 글로벌 파트너십, 세계핵테러방지구상(GICNT) 등 핵안보 관련 기존 다자 협력체의 효과적인 활용 및 각 기구간 상호보완성 강화

미디어 채널

청와대 정책소식지

미디어 채널 바로가기 sns 블로그 영상채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