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입니다. 일부 컨텐츠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콘텐츠 바로가기
메인메뉴로 바로가기
서브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유틸메뉴
메인메뉴
청와대 소식
청와대뉴스
브리핑 룸
일정
라디오인터넷연설
대통령연설
이명박 대통령
김윤옥 여사
청와대 미디어
영상자료
사진자료
톡톡 푸른지붕
인포그래픽
미디어 채널
청와대SNS
블로그편지
정책소식지
포토에세이
국정자료
국정철학
국정지표
이명박 정부 국정 성과
정상외교
핵안보 정상회의
G20 정상회의
청와대 광장
열린게시판
청와대알림판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신문고
정보공개
운영자메일
지난이벤트
청와대 안내
청와대/정부조직도
청와대소개
청와대 역사
대통령 기록관
청와대 오시는 길
청와대 주변관광
청와대 관람
청와대 사랑채
어린이 신문 푸른누리
누리한마당
누리울림터
세상과 사람
놀이터
렌즈속 세상
어린이 청와대
청와대 관람
관람안내
관람신청
관람신청 확인/수정
자주묻는 질문
관람 묻고 답하기
서브메뉴 시작
청와대 광장
국민신문고
민원/답변
본문시작
''국민권익의 날''의 의미와 취지가 알고싶어요
''국민권익의 날''은 조선시대 신문고 설치일과 국민권익위원회 출범일을 기념하고, 정부의 국민권익 보호 의지를 대외적으로 천명하고자 제정한 기념일입니다. 태종실록에..(중략)
국민신문고는 억울하거나 불편한 것,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 때 정부에 이야기할 수 있는 국민소통 창구로
전 행정기관(중앙부처, 지자체, 해외공관, 14개 주요 공공기관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총
17
개의 정책글이 있습니다.
토픽이란? 토픽은 자주 쓰이는 키워드를 모아 단어별로 관련 글을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예) 교통안전, 축제
해양환경
(으)로 검색한 결과입니다.
공유수면의 정의 및 점용사용 허가대상은?
12.10.29 13:46
해양환경
공유수면의 정의 및 점용사용 허가대상은?
육상폐기물 해양배출 제로화 관련
12.09.07 09:25
해양환경
지금도 현행법(해양환경관리법)상 육상폐기물을 해양에 투기하고 있나요?
육상폐기물 해양배출 제로화 관련
12.09.07 09:25
해양환경
육상폐기물 해양투기가 금지되면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 하여야 하나요?
공유수면 매립으로 인한 해양환경영향
12.09.07 09:25
해양환경
해역이용협의 대상사업 중 "공유수면 매립"의 경우에, 매립으로 인한 해양환경영향이 어떠한지?
육상폐기물 해양배출제로화 관령 업무
12.09.07 09:25
해양환경
육상폐기물을 해양에 투기할시 어떤 문제점이 있나요?
육상폐기물 해양배출제로화 관련
12.09.07 09:25
해양환경
해양에 언제까지 투기 하나요?
우리나라 환경성평가제도
12.09.07 09:24
해양환경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환경성평가제도는 환경부에서 운용하고 있는 환경영향평가 제도가 있는데, 해양환경은 어떠한지?
육상폐기물 해양배출 제로화 관련업무
12.09.07 09:24
해양환경
육상폐기물 해양투기제로화 목표 및 기본방향은?
바다장(해양산분) 관련 정책
12.08.02 15:41
해양환경
해양산분을 하는 다른 나라의 규제나 실태는?
바다장(해양산분) 관련 정책
12.08.02 15:41
해양환경
해양산분을 하여도 해양환경에 영향이 없나요?
바다장(해양산분) 관련 정책
12.08.02 15:41
해양환경
현행법(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산분은 불법인가요?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국내 최초 확인 동해울릉분지 인근 해저퇴적층 50억톤 영구 저장가능
12.05.29 09:16
해양환경
국토해양부에서는 이산화탄소 저장 기술과 온실가스 감축으로 인한 경제 효과가 오는 2030년까지 100조 원, 고용 창출 효과는 1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는데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해 주세요.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국내 최초 확인 동해울릉분지 인근 해저거층 50억톤 영구 저장가능
12.05.29 09:16
해양환경
경제적 효과를 따져보지 않을 수 없는데 현재 톤당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 가격은 어떻습니까? 앞으로의 추이는 어떨 것으로 보십니까?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국내 최초 확인 동해울릉분지 인근 해저거층 50억톤 영구 저장가능
12.05.29 09:16
해양환경
퇴적층에 격리된 이산화탄소가 새어나올 위험은 없습니까?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국내 최초 확인 동해울릉분지 인근 해저거층 50억톤 영구 저장가능
12.05.29 09:16
해양환경
이산화탄소 50억 톤이면 우리나라가 설정한 연간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량과 비교할 때 규모가 얼마나 되는 겁니까?
대규모 CO2 지중저장소 국내 최초 확인 동해울릉분지 인근 해저거층 50억톤 영구 저장가능
12.05.29 09:16
해양환경
이산화탄소를 땅 속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려면 특별한 구조가 필요하다는데 어떤 구조입니까?
대규모 CO2지중저장소 국내최초 확인 동행울릉부지 인근 해저퇴적층 온실가스 50억톤 영구 저장..
12.05.29 09:16
해양환경
미국과, 일본 EU 등 선진국들은 이미 막대한 예산을 투자해 이산화탄소 매립 프로젝트를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요? 해외 사례는 어떤지 소개해 주시죠.
1
카피라이터